안녕하세요! 팀 블로그의 늑대 입니다! 얼마전에 제가 자주가는 게시판에 어떤 분께서 이런 질문을 하셨습니다. [익스플로러 버전에 따라서 다운로드 속도가 차이 날까요?] 라는 질문이였는데 답변은 없었고 게시물 내용에는 버전에 따라서 페이지 속도에 차이가 있는데, 다운로드 속도도 차이가 있냐는 질문이었습니다. 그래서 직접 한번 해보기로 하기로 결심 했습니다. 일단 가상 머신에서 실제 하드와 인터넷 속도가 차이가 있나 알아 봤지만, 별로 차이가 없다고 하더라구요...차이가 있다고 했다면.........그만 두었습니다ㄷㄷ;; 그런데 글을 작성하고 보니 속도는 상관없고 시간만 체크 했습니다ㄷㄷㄷㄷㄷㄷㄷ 나중에 속도도 측정하여 올리도록 하겠습니다;;; ※ 본 테스트에 사용된 윈도우는 95/98SE/2000 PRO/..
안녕하세요! 팀블로그의 늑대 입니다. 작년 이맘때 쯤, Internet Explorer8 (이하: IE8)이 나왔습니다..정확한 날짜는 2009년 3월 19일 입니다 ㅎ 지난 화요일인 16일에 Microsoft Internet Explorer 블로그인 'IEBlog'에서는 MIX 컨퍼런스에서 웹 개발자들에게 IE9에서 무엇이 적용 되었는지 발표하고 IE9의 개발자 모드인 'Internet Explorer9 Platform Preview' 를 공개 했습니다. ※ Internet Explorer9 Platform Preview는 비스타 SP2 부터 설치할 수 있습니다. 비스타 SP2 이하의 운영체제에서는 설치가 불가능함을 미리 알려 드립니다. Internet Explorer9 Platform Preview ..
빠른 속도와 넓은 화면과 가벼운 느낌으로 컴퓨터 사용자들에게 호평을 받은 구글 크롬, 하지만 그 후에 몇가지 버그와 함께 엑티브X가 안된다는 것과 익스플로러나 타 브라우저에서는 표시가 잘 되던 사이트가 크롬에는 비정상적으로 표시되며 문제가 많았던 구글 크롬... 사용자들은 그런 크롬에게 불만을 쏟아 냈지만 엑티브X를 지원하게 업데이트를 할 예정이라는 크롬 개발자의 말에 모두들 '아직 베타니까 좀 더 지켜보자' 고 다들 말했습니다. 크롬 옵션 중에서 고급설정 탭의 개인정보에 보면 사용 통계와 충돌 보고서가 구글로 자동 전송 되도록 하는 옵션이 있습니다. 그러나 이 옵션이 사용자들의 개인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는 말이 나옴에 따라, 크롬을 사용하던 절반(개인적인 생각)은 기존에 사용하던 브라우저로 발길을 돌..
요즘은 인터넷 뱅킹이라는게 있죠? 은행에 행차하지 않아도 집에서 키보드 몇번 깨작 거리고, 마우스 클릭질 몇번하면 예금/출금 등 각종 은행 관련 업무를 편하게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우리나라 은행들은 Active X라는 기술을 각 사이트에 적용 시켜 놨기 때문에, Active X를 설치 하지 않으면 인터넷 뱅킹을 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Active X란...미국의 마이크로 소프트사가 선마이크로시스템즈의 자바(JAVA) 기술에 대항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 일반 응용 프로그램과 웹을 연결 시키기 위해 제공되는 기술 입니다. 우리나라 은행 사이트들은 엑티브X를 몇개씩 설치 해야 됩니다. 설치를 안하면 대략 '우리의 엑티브X를 무시하는 거냐!' 라고 하면서 설치를 강요 합니다. 키보드 보안 프로그램까..
로컬 영역 연결(네트워크 연결)은 정상적으로 되었고 메신저 로그인도 되는데 브라우저에서 웹 페이지를 표시할 수 없다고 나올 때, 어떻게 해결을 하시나요? 보통 인터넷에 이상이 생기면 컴퓨터 재부팅을 하면 정상적으로 되지만 재부팅을 해도 정상적으로 되지 않을 때가 있습니다. 계속해서 웹 페이지를 표시할 수 없다고 나올 경우에는 통신회사에 전화를 해야 겠죠..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는 방법을 아시는 분들은 아시겠지만, 모르시는 분들을 위해서 알려 드립니다. 이 해결 방법은 Windows XP에서만 가능 합니다. 해결 방법은 간단 합니다, Windows XP 네트워크 진단을 실행 시켜서 하면 됩니다 Windows XP 네트워크 진단은 인터넷 익스플로러를 실행한 뒤에 위의 이미지 처럼 웹 페이지를 표시할 수 없다..
구글 크롬에 대한 리뷰를 작성 할려고 생각 했는데 일부러 늦게 작성 했습니다, 그 이유는 구글 크롬에 대한 다른 블로그의 글들이 뭍힐 쯤에 하나 작성하여 발행하면 방문자 수가 늘어날 것이라는 과학적인 방법(?)과 함께 착각 때문 입니다 -ㄴ-; ...아무도 안믿으시는 군요..네, 사실은 귀차니즘에 늦게 작성하게 되었습니다 (- _-) 구글 크롬을 사용 해 본 결과 사이트 이동 속도는 타 브라우저 보다 월등히 빠르더군요... 크롬이 누리꾼들 사이에 처음 알려지기 시작 했을 때, 크롬 리뷰를 작성한 어느 블로그 덧글에서 이런 덧글을 봤습니다. '구글 크롬 로고가 포켓 몬스터에 나오는 몬스터 볼과 비슷하다' 자, 그럼 진짜 비슷한 지 비교 해봅시다 (...) ...오른쪽에 있는게 포켓 몬스터에 나오는 몬스터 ..
본 게시물의 출저는 Blog of JWC 입니다 많은 분들이 윈도우의 작업관리자에 나와 있는 네트워크 사용율이나 화면 오른쪽 하단에 있는 컴퓨터 2개가 깜빡 거리는 네트워크 연결 아이콘으로 인터넷 사용을 감시 하실 겁니다. 실질적으로 내가 몇 kbps 혹은 mB/s 로 파일을 전송 받는지 아니면 내가 지금 어느 정도의 속도로 업로드/다운로드를 이용하고 있는지 표시해 주지 않고, 정확도도 가늠하기 힘이 들죠.. Netmeter 또는 Bandwidth Monitor 같은 프로그램을 사용하시면 정확하게 현 네트워킹 상황을 모니터링 하실 수 있습니다. 이 둘 외에도 다양한 위젯이나 프로그램이 존재하지만, 이 둘 많큼 정확한 수치를 표시해 주는 프로그램이 없더군요. 또한 매우 가벼워서 리소스를 거의 차지하지 않습..